재산세에 대해 탐구하겠습니다.
이 포스트를 끝까지 읽으시면 재산세를 이해하게 되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재산세의 지식이 필요하면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모두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재산세 정의
저는 먼저 재산세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토지나 건축물, 기타재산 그리고 주택에 부과하는 세금인데요.
이 세금의 계산 방법은 바로 과세표준이라는 것에 세율을 곱하고
거기에 누진 공제를 빼는 방식으로 계산되어집니다.
여기서 과세표준이라는 것을 저처럼 처음 들어보시는 분도 계실 텐데요.
이것은 공시지가에 60프로를 곱한다면 나오는 값입니다.
공시지가는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아파트의 경우에는 매년 4월경에 발표됩니다.
재산세 미납 추가적으로 매년 7월은 재산세 납부 기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세금고지서를 발부받게 된다면 내 앞으로 알맞게 세금이 잘 나왔는지를 확인하고요.
그 뒤에 기간 내에 납부를 하면 되겠습니다.
본 세금은 일정한 재산에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토지와 건축물을 비롯하여 주택 및 항공기와 선박까지 모두 과세대상으로 보고 있죠.
이것들은 과세기준일에 의거하여 세금을 사실적으로 납부하면 되는데요.
재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모두 납세의무자로 지정됩니다.
이것은 국세가 아닌 지방세로 분류됩니다.
그래서 구청이나 군청에서 직접적으로 관리를 하게 되죠.
즉, 지방세 중에서도 구세나 시군세로 보고 보통세로 불리고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일
이렇게 매도를 하면, 재산세를 납부해야하는데 납부일은
1분기에는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이며,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분들은 7월에 납부고지서가 집으로 날라옵니다.
2분기는 납부기한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로 한 번 더 납부하게 됩니다.
이때 토지는 9월에 납부를 하게 되며, 건축물은 7월에 납부를 하게 됩니다.
재산세 납부방법
재산세를 납부하는 방법으로는 금융기관을 방문해 납부를 하는 방법이 있는데,
아무래도 이는 대기시간이 있기 때문에 납부 마감일인 경우 복잡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ARS 납부를 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전화 통화가 더 번거롭기에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전용계좌로 납부를 하는 것인데,
은행전용계좌로 계좌이체만 하면 되기에 매우 편리합니다.
이 밖에도 홈페이지나 어플을 통해 납부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는 지방세 중에 구세와 시 또는 군세에 해당되는데요.
보통세라고도 불립니다.
이것은 토지와 건축물, 그리고 주택, 선박 그리고 항공기르 과세물건으로 하고요.
납세지는 토지의 소재지와 건축물의 소재지,
그리고 선박의 선적항 손재지, 항공기 정치장의 소재지, 주택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하게 되죠.
과세기준일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재산을 사실상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이를 납부해야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공부상의 소유자가 매매 등의 이유를 통해 소유권에 변동이 일어났더라도
이를 신고하지 않아서 사실상의 소유자를 알기 어려울 때에는 공부상의 소유자가 납세의무를 다하게 됩니다.
재산세 미납 외에도 과세표준은 시가표준액에 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지방재정 여건 등을
고려해서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한 후 산정된 가액으로 한다고 해요.
세율은 토지에 대한 세율, 주택,건축물,선박,항공기에 대한 세율로 나눠지는데요.
여기서 저는 주택에 해당이 돼서 주택부분만 보고 갈게요.
주택의 경우 6천만원이하의 과세표준의 경우 세율은 1000분의 1이며,
6천만원 초과 1억 5천만원 이하의 경우 세율은 6만원+6천만원 초과금액의 1000분의 1.5이고,
1억 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의 경우 19만5천원 + 1억5천만원 초과금액의 1000분의 2.5라고 해요.
재산세 부과기준
재산세 부과기준을 알아보자면,
7월에는 주택과 건축물, 선박, 항공기에 대한 것들을 납부하고
9월에는 주택과 토지에 해당하는 것을 납부하게 됩니다.
저는 주택만 해당이 되기에 7월과 9월만 납부하면 됩니다.
만약 납부 기간 안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는 3%의 가산세가 붙기 때문에
반드시 제 기간 안에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6월 1일 이전에 매입을 하면 당해 년도로 잡히기에 2일부터 매입을 하는 것이 꿀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상 재산세 미납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행복한 시간 되세요.
2021.05.13 - [정보글] - 모바일300대출 이용할 수 있는 은행 TOP3 알아보기
모바일300대출 이용할 수 있는 은행 TOP3 알아보기
저도 작년부터 주식을 하고 있지만 큰 금액은 넣지 않고 어느정도 경험을 쌓고 하려고 소액으로 하는 중인데.. 오늘 코스피가 3,122.11 ▼ 39.55 (-1.25%) 하락하고 코스닥은 951.77 ▼ 15.33 (-1.59%)까지 하
umozzni.tistory.com
양육비를 주지 않는 부모의 신상 공개는 명예훼손일까?
양육비를 주지 않았던 부모와 코피노(필리핀에 아이를 두고 양육비를 주지 않는 자)에 대한 신상 공개로 유명한 '배드 파더스' 배드 파더스는 부모의 신상보다 아이의 생존권이 중요하다고 천
jelly6.tistory.com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기초공제 일괄공제 방법을 알아봅시다. (2) | 2021.05.19 |
---|---|
부가세 경정청구 기한 얼마나 될까? (0) | 2021.05.18 |
관절이나 뼈가 약하시면 파인애플 드셔주세요. (0) | 2021.05.16 |
모바일300대출 이용할 수 있는 은행 TOP3 알아보기 (0) | 2021.05.13 |
상속세 기초공제 일괄공제 방법은? (0) | 2021.05.11 |
최근댓글